안드로이드의 BuildConfig 활용
안드로이드는 앱을 빌드하는 과정에서 여러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한다. BuildConfig 클래스도 그 중 하나로, 현재 빌드에 관한 정보를 상수 필드로 갖고 있어 코드에서 직접 참고할 수 […]
더 보기 →안드로이드는 앱을 빌드하는 과정에서 여러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한다. BuildConfig 클래스도 그 중 하나로, 현재 빌드에 관한 정보를 상수 필드로 갖고 있어 코드에서 직접 참고할 수 […]
더 보기 →Glide의 커스터마이징은 공식 문서(영문)에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. 내게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지 참고하고, 더 자세한 내용은 꼭 공식 문서를 보자. Glide는 Fresco, Picasso, Universal Image […]
더 보기 →Volley는 2013년 구글에서 공개한 안드로이드 네트워크 라이브러리다. 구글 플레이 스토어 팀에서 개발/적용 후 공개한 것이 Volley의 시작으로 알려져 있다. 지금은 인기가 예전만 못하지만, 공개 당시에는 […]
더 보기 →지난 글에서 앱의 targetSdk 버전에 따라 동작이 달라진다는 내용을 살펴보았다. 안드로이드를 이렇게 만든 이유는 이 글에, 차이점은 안드로이드 API 공식 문서인 이 글에 잘 정리되어 […]
더 보기 →Stetho는 2015년 페이스북에서 공개한 안드로이드 디버깅 도구다. 크롬 브라우저에 내장된 개발자 도구인 DevTools를 활용해 안드로이드 앱의 네트워크, 데이터베이스, 프리퍼런스, 레이아웃 등을 디버깅 할 수 있다. […]
더 보기 →