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드로이드 서비스 상태별 바인딩 결과 테스트

안드로이드에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은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권장한다. 그리고, 다른 컴포넌트는 이 서비스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주고받기 위해 바인딩 할 수 있다.

서비스 바인딩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글이 있으므로 생략하고, 여기서는 서비스의 상태(서비스의 위치, 이름, 반환 값 등)에 따라 메소드들이 호출되는지 여부와 어떤 값을 반환하거나 전달 받는지 정리한다. 참고로, 테스트는 N O/S에서 진행했다.

각 항목을 간략히 설명하면,

  • 서비스 위치 : 서비스에 바인딩하는 컴포넌트와 서비스가 같은 프로세스 안에 있는지 여부
  • 서비스 존재 여부 : 실제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
  • 서비스 활성화 여부 : 서비스는 존재하는데, 그 서비스가 활성화(enabled)되었는지 여부
  • 서비스 내 onBind()의 반환값 : 서비스 내의 onBind() 메소드에서 반환하는 객체
  • 액티비티 내 bindService 반환 값 : bindService() 메소드의 반환 값
  • 서비스 내 onBind() 호출 : 서비스 내의 onBind() 메소드 호출 여부
  • 액티비티 내 onServiceConnected() 호출 : 액티비티에서 서비스 바인딩 시도 후, onServiceConnected() 가 호출되는 지 여부
  • 액티비티 내 onServiceConnected()의 IBinder 객체 : onServiceConnected() 메소드가 호출 된 경우, 파라미터로 전달받은 IBinder의 객체 여부
  • 서비스 내 onUnbind() 호출 : 액티비티에서 서비스 언바이딩 시도 후, 서비스 내의 onUnbind() 메소드가 호출되는지 여부
  • 액티비티 내 onServiceDisconnected() 호출 : 액티비티에서 서비스 언바인딩 시도 후, 액티비티 내의 onServiceDisconnected() 메소드가 ‘즉시’ 호출되는지 여부

이다. 위 5가지 테스트 중에 T3가 특이하다. 액티비티가 서비스 바인딩 시도 시, 서비스의 onBind() 메소드에서 null을 반환한다면 bindService() 의 반환으로 true를 건넨 후 후로 더이상 진행되지 않는다. 그러므로 서비스 바인딩을 시도한 컴포넌트의 입장에서는 onBind()에서 null을 반환한 경우,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지 알 수 없다.

이 문제는 아래와 같이 구현되었다면 더 좋을 것 같다.

  • bindService() 호출 시, false 반환
  • onServiceConnected()가 호출되고, IBinder 가 null로 반환

그래야, 서비스 바인딩을 시도했던 액티비티가 예외처리를 할 수 있었을 텐데 말이다.

그 밖에

실제로는 onBind() 메소드에서 null을 반환하는 코드가 IntentService 내에 쓰이고 있다.  서비스의 구동 방식을 모르고 바인딩 시도하는 경우가 없으리라는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.

참조

댓글 달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

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.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.